
▶ 액세스 리스트란?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규칙의 집합이고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라우터에서 설정된다. ●액세스 리스트의 종류 ○ 스탠더드 액세스 리스트 (Standard Access List): 출발지 주소만을 기준으로 트래픽을 제어하며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접근 제어에 사용 ○ 익스텐디드 액세스 리스트 (Extended Access List): 출발지와 목적지 주소, 프로토콜, 포트 번호 등을 고려하여 트래픽을 제어하고 더 세부적이고 복잡한 네트워크 접근 제어가 가능하다. ○ 다이내믹 액세스 리스트 (Dynamic Access List):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기반으로 접근을 제어하며 빈번하게 사용되지는 않지만, 특정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다. ● ..
장점: 초보자가 라우터를 컨피규레이션 한다면 가장 편리한다 ▶다이내믹 라우팅 프로토콜 - RIP(내부용 라우팅 프로토콜(IGP)) 장점: 초보자가 라우터를 컨피규레이션 한다면 가장 편리한다. 단점: RIP가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찾아가는 방법을 알아봐야 한다. (홉카운트가 낮을 수록 가장 좋은 경로) *홉카운트: 목적지까지 가는데 네트워크를 몇번 거쳐야 하는가에 대한 개수 ▶RIP 라우팅 프로토콜 작동 원리 ● 업데이트 간격과 무효화 시간(Invalid Time) IP는 기본적으로 30초마다 라우팅 업데이트를 전송하는데 만약 180초 동안 업데이트를 받지 못하면, 해당 경로는 '무효화(invalid)' 상태가 된다. ● 홀드 다운(Hold Down)과 플러시 타임(Flush Time) 라우터는 180..

▶라우터 장비 라우터란, 한마디로 '지능을 가진 경로 배정기'라고 한다. 자신이 가야할 길을 자동으로 찾아서 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을 말한다. 즉, 외부의 어떤 인터넷 사이트를 찾아가는 데이터가 있다면 라우터는 이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길을 스스로 찾아 안내해 주는 능력을 갖고있다. 물론 라우터에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이러한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고 우리가 세팅을 해줘야만 한다. ☆☆☆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Layer 3 장비'라고도 합니다. ▶라우터가 하는 일 라우터는 경로 결정과 스위칭을 하는 장비인데, 가장 좋은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서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이런 라우팅 알고리즘은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서 관리한다. 그러기 위해서 P..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Spanning Tree Protocol의 약자로 STP라고도 부른다. 스위치나 브리지에서 발생하는 루핑을 막아주기 위한 프로토콜인데, 스위치나 브리지 구성에서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2개 이상 존재할 때 1개의 경로만을 남겨두고 나머지는 모두 끊어두었다가, 사용하던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면 그때 끊어두었던 경로를 하나씩 살린다. ●브리지ID 브리지나 스위치들이 통신할 때 서로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씩 가지고 있는 번호라고 생각하면 된다. 브리지 ID는 16비트의 '브리지 우선순위'와 48비트의 'MAC주소'로 구성되어있다. 브리지 우선순위의 기본값(default)은 32768이고 범위는 0~65535다. MAC주소는 스위치나 브리지의 고유 값으로 브리지 우선순위 뒤에 붙는다...

▶IP주소 란? IP주소는 컴퓨터나 다른 장치들이 인터넷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한 주소로, 원래는 32자리의 이진수로 표현되나, 사용하기 쉽도록 4개의 옥텟(각 옥텟은 8자리 이진수)으로 나누어 십진수로 표현된다. 즉, 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에서 1111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11까지 표현해 줄 수 있다. ▶라우터의 IP주소 배정 라우터는 IP 라우팅 외에도 다른 프로토콜들을 지원하지만, 현재는 대부분 IP를 중심으로 동작한다. 라우터는 주로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시리얼 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외부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연결된다. 라우터에는 최소 두 ..

▶랜카드 랜카드는 보통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NIC'(Network Interface Card)라고도 한다. 네트워크 안에 컴퓨터간의 통신을 할 사용하는 장비이다. 현재에는 컴퓨터를 키면 알아서 랜카드를 인식하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설치하고 네트워크에 연결해주는 플러그 앤 플레이(P&P)를 지원하지만 예전에는 하나하나 CD를 이용해서 설치하거나 다운받아서 추가 설치를 진행했어야 한다. 글쓴이는 PCIe IPTIME AX3000PX 랜카드를 데스크톱에 꽂아 사용 중인데 끊김없이 무선으로 잘 사용 중에 있다. ▶허브란? 허브는 멀티포트 리피터 라고 말할 수 있다. 허브는 포트가 여러 개 달린 장비인데, 한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나머지 모든 포로 뿌려준다. ☆ ☆ ☆ 리피터란? 신호를 수신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