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트유람]ERD(임시)
개발/비트 유람2024. 1. 16. 09:56[비트유람]ERD(임시)

ERDCloud사이트를 이용하여 임시로 작성한 ERD입니다. 추후 백엔드 개발하면서 수정할 예정입니다.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법
개인 공부/정보 보관함2024. 1. 10. 15:42요구사항 명세서 작성법

요구사항 명세서의 목적과 중요성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개발 과정에서의 오해를 최소화하며, 프로젝트의 범위를 명확히 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수를 위해 중요한 문서입니다. 요구사항의 분류 기능적 요구사항: 소프트웨어가 수행해야 할 기능들을 명시합니다. 예를들어, 로그인, 데이터 처리 드으이 기능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비기능적 요구사항: 성능, 보안, 사용성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품질과 관련된 요구사항입니다. 예를들어, 시스템의 응답시간, 보안 기준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요구사항의 상세화 각 요구사항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작성되어야 합니다. 모호하거나 다의성을 가지는 표현은 피하고, 가능한 한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포함시켜야 합니다. 일관성과 검증 가능성 유지 모든 요구사항..

[비트 유람]프로젝트 수행 일정표 WBS - 1단계
개발/비트 유람2024. 1. 9. 15:49[비트 유람]프로젝트 수행 일정표 WBS - 1단계

본 글의 WBS는 개인이 혼자 진행하는 것으로 파트,작업자 등과 같은 항목은 제외하고 작성하였습니다. 만약 팀원끼리 wbs작성시 충분한 회의를 거치고 나서 진행하시고 회사라면 PM의 승인까지 결제를 받아 다시 최종본을 배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늦춰져서 수행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약간은 유동적으로 일정을 다시 변경하면서 수행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 개인 연습용도로 제작 ( WBS작성법을 공부도 하며 진행하였지만 틀릴 수 있음) 제가 이용했던 위에서 작성했던 예시 엑셀파일 입니다. 아래는 구글시트를 이용하여 제작한 원본 링크를 HTML블럭을 이용하여 올린 예시(작성자용)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WBS 작성법
개인 공부/정보 보관함2024. 1. 9. 15:41WBS 작성법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WBS 작성은 개발 단계에서 '1단계 - 계획'에 해당하며 어느 날짜까지 이러한 기능을 완성하겠다는 일정표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주로 소규모의 구성 단위까지 표기하다보니 계층적/점진적 구조 형태를 띄우고 있습니다. WBS 는 왜 작성해야만 하는가? 1. 전체 업무 내용을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 2. 전체 업무 내용 중 현재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 3. 진행 중인 내용이 계획과 달라지는 지점이 생길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획과 달라지는 지점이라 함은 예상치 못한 임무가 추가 되었을 때 일정이 delay되는 등의 문제를 말하고, 이런 부분을 WBS를 이용하여 관리하게 됩니다. * WBS 정의 프로젝..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 정리
개인 공부/정보 보관함2024. 1. 9. 11:31소프트웨어 개발 단계 정리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의 큰 틀은 5단계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 보수 로 나뉜다. 하지만 저는 ' 계획 '이라는 단계를 하나 더 추가해 총 6단계로 설명 및 실제 개인적으로 개발을 진행해 보려고 한다. 1. 소프트웨어 개발 1단계 - 계획 계획단계에서는 비용, 기간 등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것에 대해 계획한다. 그 중 개발 비용을 산정할 때 쓰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COCOMO모델과 FP모델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주로 FP 즉 기능점수 모델을 자주 사용한다고 한다. 또한 일정 계획도 세워야 합니다. 일정 계획은 WBS(작업 분할 구조도), CPM(네트워크 차트), Guntt chart가 있습니다. https://ernest-o.tistory.com/33 2. 소프트웨어 개발 2단..

kiwi Melody 평판형 드라이버 이어폰
IT소식공유/구매 리뷰2023. 12. 27. 09:36kiwi Melody 평판형 드라이버 이어폰

평판형 드라이버란? 일반적인 헤드폰에서 쓰이는 드라이버 유닛은 대체로 다이나믹 드라이버입니다. 일반적으로 평판형이라고 말하지만 이는 한글번역이 좀 빈약한 경우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planar magnetic driver라고 하는데 굳이 말하자면 평판 자력식, 혹은 평판자력형이 맞는 표현입니다. 다만 헷갈리니 일반적인 용어인 평판형으로 리뷰를 적도록 하겠습니다. 평판형 드라이버는 수많은 자석들을 이용해서 균등한 자기장 구역을 만들고, 그 자기장 구역에 전도성 패턴을 늘어놓은 뒤에, 전기를 먹여서 진동시키는 구조입니다. 일반적인 다이나믹 드라이버랑 다르게 평판형이라는 이름에 맞게 평판형 드라이버가 진동합니다. 평판형 드라이버의 장점은 일단 귀에 음파가 보다 평평하게 도달한다는 것과 진동판에 진동을 가하는 ..

728x90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