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nest-o 2024. 1. 9. 15:41
728x90
반응형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WBS 작성은 개발 단계에서 '1단계 - 계획'에 해당하며 어느 날짜까지 이러한 기능을 완성하겠다는 일정표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주로 소규모의 구성 단위까지 표기하다보니 계층적/점진적 구조 형태를 띄우고 있습니다.

 

  • WBS 는 왜 작성해야만 하는가?

1. 전체 업무 내용을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

2. 전체 업무 내용 중 현재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

3. 진행 중인 내용이 계획과 달라지는 지점이 생길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획과 달라지는 지점이라 함은 예상치 못한 임무가 추가 되었을 때 일정이 delay되는 등의 문제를 말하고, 이런 부분을 WBS를 이용하여 관리하게 됩니다.

 

* WBS 정의

프로젝트 관리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에서 프로젝트를 소규모의 구성 단위까지 나누어 전달 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하며,

'계약 업무 분류 체계 (Contract Work Breackdown Structure)' 라고 한다.

 

  • WBS 를 작성하는 시점

요구사항 정의가 끝나고 기획이 70~80%정도 끝났을 시점이 좋습니다. 실제로 작업이 들어가기 전에 각 작업 내용에 대해 미리 계확하는 것인데 기획만큼은 어느 정도 완성이 되어야 각 작업자르의 작업 명세가 설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직 요구사항도 못들었는데 WBS부터 달라고 하지 맙시다!)

 

  • WBS 를 작성하는 사람

PM 또는 PL 또는 기획자가 작성에 대한 진행을 하고 실제 각 작성은 담당 파트에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데 규모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진행하여도 좋습니다. 

예를들어, PM이 이사님이 내가 기획자라면 제가합니다. (눈치 챙겨야 살아요..)

 

문서의 양식과 정책을 정리해서 각 파트에 배포하고 각 파트에서는 자신의 업무 명세를 작성하여 기획자가 말한 시한까지 제출하시면 기획자가 취합하여 다시 일정을 협의 후 최종본을 배포합니다.

 

  • WBS 작성항목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각 업무

1. 파트

2. 작업항목

3. 항목에 따른 내용

4. 작업자

5. 작업일정

6. 작업 진행 사항

를 기본으로 작성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외에는 알림, 달성 그래프, 각 항목별 아웃풋 명세등도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 WBS 작성예시

이런식으로 엑셀을 이용하여 작성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각 항목은 작업 순서대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시, 순차로 진행되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빠르게 파악하기 편하고 항목을 상세히 쓸수록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할 수록 빠트리지 않고 다 챙기면서 갈 수 있습니다. 중간중간에 검수 및 수정 기간도 미리 확보해 두는 것도 좋습니다.

 

  • WBS 관리

최종 WBS를 배포하고 일 단위, 주 단위 규칙을 정해서 기획자가 진행사항을 체크합니다. 오늘이 1월9일이고 작업기간이 1월10일까지인데, 아직 요구사항이 20%만 진행되어 있다면 다시 요구사항 담당 파트와 논의 후 문제를 해결하셔야 합니다. 

 

정기적 진행사항 체크는 기본으로 진행하며 이슈가 발생하면 비정기적으로도 필요한 부서들과 논의 후 이후 일정까지 다시 협의 및 정리하여 배포합니다.

 

 

* 이런식으로 만들면 된다는 예시용 엑셀파일입니다.

예시용.xlsx
0.01MB

 

 

 

 

728x90
반응형